- 2025년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시험 대비 강의 수강후기_문O웅( 제1회 공인시험 합격 )
- 작성일 : 2025-09-11 15:18:48
-
안녕하세요.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합격수기와 함께 왔습니다.
오랜 토익 공부에 지친 상태에서 토익 외의 공부를 하고 싶어서 뭐가 있을까 찾아보다가 발견한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무역 자격증 관련 오픈채팅에서 시험이 가까워지니까 얘기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원래 알고 있다가 도전해볼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대부분의 무역자격증(국제무역사, 무역영어, 물류관리사 등)은 최소 한 달 정도의 공부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저한테 적합한 자격증이었습니다.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전환된지 1회여서 난이도가 쉽게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한건 덤
공부 기간은 2주~3주 정도 잡고 시작했습니다.
주인장 베이스 : 무역 비전공자, 국제무역사, 무역영어 1급, 물류관리사, 유통관리사 보유
그래도 자격증은 인강을 선호하기도 하고, 신생 자격증인 만큼 무료 자료가 별로 없었기에.. FTA관세무역연구소에서 인강 신청! (스해물 취급 유일)
윤준필 관세사님께서 진행하는 강의를 신청했습니다.
- 환급패스(대략 15만원?)
- 연장 수강반(대략 9만원?)
책을 포함한 가격이었는데 저는 붙자는 마인드로 1번 환급패스로 선택했습니다 ㅎ
책은 늦지 않게 배송받았습니다.
울산항만공사에서 공개하는 자료가 너무 방대해서(거의 500페이지) 책이 컴팩트하고 얇은건 좋았습니다 ㅎ
과목은 총 5가지인데요.
국제물류거래, 해운물류론, ICT 요소기술 개론, 스마트 해상물류 기술개론, 해상물류 및 정보통신 법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마 무역이나 국제물류 배운 분들은 3과목과 4과목을 제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교재는 거의 주요 개념을 모아놓은 느낌인데 핵심만 뽑아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일반 개념서에 비해 자세한 설명이 없다고 동시에 느끼기도 했습니다.
EX) RIPI가 무엇인지는 나와있는데, 무슨 약자인지 없음 등
윤준필 관세사님의 강의 또한 핵심만 짚어준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중요한 부분은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강약조절이 살짝 약한 느낌이 있음)
이렇게 책으로 개념을 1회독하고, 무꿈사에서 제공하는 CBT 모의고사를 반복해서 학습했습니다.
이렇게 과목별로 점수를 알 수 있어서 어떤 과목이 부족한지 알 수 있었습니다.
문제에 대한 해설도 간략히 볼 수 있었습니다.
CBT모의고사에서의 내용이 실제 시험에서도 많이 나왔어요! 반복해서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렇게 시험 당일
저는 대전예술고등학교에서 시험을 봤고 정문부터 시험 담당자님들이 안내를 해주셔서 문제없이 고사장까지 입성했습니다.
시험에 앞서 간단한 설문조사 후, 시험을 봤어요
시험지를 받고 파본검사를 하면서 간단하게 문제를 읽어봤는데 쉽지 않아보였습니다.
울산항만공사에서 제공하는 연습문제가 있는데, 그것과는 문제와 선지의 길이가 차원이 달랐습니다. 대충 공부하면 안 될 듯 합니다.
시험 시간은 넉넉해서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기 퇴실을 했습니다.
그렇게 결과일까지.. 떨어졌을까봐 걱정함 ㅜㅜ
다른 분들이랑 가답안 맞춰봤는데 틀린 문제가 꽤 있었거든요
결과는 생각보다 고득점으로 합격!
역시 생소한 3과목 ICT 요소기술 개론은 60점을 간신히 넘겼습니다.
그래도 원래 있었던 무역 베이스를 바탕으로 나머지 과목에서 고득점으로 합격했습니다!
관세사님이 짚어주는 주요 개념들을 자세히 공부하면 다들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CBT 열심히 풀어보시구요 ㅎ
기억나는 주요 문제 키워드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다들 2차 시험에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주요 키워드>
편의치적 제도, 무역 서류 순서(S/R > ? > E/R > D/R > B/L), 계약의 4성격, 관세법 및 대외무역법 정의, 수출입 공고, 인코텀즈(해상운송만 적용되는 조건), RIPI, 게슈탈트 현상의 특성(유사성?), PORT-MIS, PLISM 3.0, 빅데이터 기술 특성, OSI 7계층, TCP/IP, Berth Term 등 운임 지불 조건, 원산지증명서, HS코드, 로지스틱스 1.0~4.0 구분, 3자 물류 정의, 항만의 정의, 양자화(펄스?), 테스트베드, 수출의 정의, 물류 법규에서 물류관리사 내용, 수출신고대상 여부(전시회를 위한 수출?), 관세 우선 순위(덤핑,상계,긴급 1순위), 적부도 설명 주고 고르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